본문 바로가기

시선토픽

서울 지하철 파업, 왜 하는걸까?: 대체 교통수단, 총파업

반응형

지하철 파업
서울 지하철 파업 왜 하는걸까?

 

오늘 아침, 20204년 11월 18일 서울 지하철 파업 때문에 출근길 시민들이 혼잡에 빠졌는데요. 이번 파업이 왜 일어났는지, 시민들의 불편은 어느 정도였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서울 지하철 파업 왜 하는걸까?
서울 지하철 파업 왜 하는걸까?

 

1. 지하철 파업 왜 하는 걸까?

전국철도노동조합의 시위로 인해 발생했고, 임금 인상과 인력 부족에 대한 노조의 시위라고 합니다.

철도노조가 개선을 요구하는 조건은 총 2가지입니다.

첫째, 현재 인력이 부족해서 안전하게 운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충분한 인력 확보가 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4조 2교대 근무체계를 도입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기본급 인상입니다. 근로 조건 개선도 함께 요구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런 철도노조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합니다.

 

2. 시민들은 얼마나 불편했을까?

일단 월요일부터 파업에 들어가다 보니, 출근길 혼잡은 엄청났습니다.

특히 서울 1호선~4호선 등 주요 노선에서 시간 지연이 30분 이상 일어났다고 합니다.

1호선과 2호선은 출근길에 사람이 가장 많이 몰리는데, 계속 지연 현상이 일어나자 시민들이 중간에 내려서 버스나 택시를 타는 등의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이로 인해 도로 상황까지 엄청난 혼잡을 겪었다고 합니다.

 

3.  총파업을 하면 어떻게 될까?

 

노조의 개선 요구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하는데요.

만약 총파업으로 이어질 경우, 서울 시민들과 서울로 출퇴근하는 시민들은 더욱 큰 불편을 겪게 됩니다.

지하철로 출퇴근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버스와 택시, 자가용으로도 사람이 몰리기 때문에 오늘 같은 출퇴근이 반복될 것입니다.

 

서울 지하철 파업 왜 하는걸까?
서울 지하철 파업 왜 하는걸까?

 

4. 과거 지하철 총파업을 했던 사례

1994년 전국 철도, 지하철 파업

서울지하철노조가 지금과 같은 임금 인상과 근로조건 개선을 위해 파업을 진행한 바가 있습니다.

이 파업은 정부수립 최초로 조직적으로 일어난 철도와 지하철 파업인데요. 시민들의 대중교통에 엄청난 지장을 초래하게 되어서, 결국 정부와 노조 간 협상이 이루어져 요구가 수용되었다고 합니다.

2016년 전국지하철노조 총파업

똑같이 서울지하철노조가 임금 인상, 근로조건 개선을 위해 총파업을 진행했습니다. 이 사건은 노사 간의 갈등이 심각하게 초래되어 한차례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었습니다.

 

 

 

총파업이 진행된다면 출퇴근길 교통 혼잡은 불 보듯 뻔합니다. 1994년과 2016년에 한 번씩 겪었듯이, 과거의 경험을 거름 삼아 앞으로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 알 수 있습니다. 일부 시민들은 노조를 이해하며 지지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너무 큰 불편으로 인해 삶이 힘들어질 수도 있습니다.

노사 간의 원활한 협상으로 인해 하루빨리 시민들의 불편이 해소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반응형